subtitle5_5+

5-1-11

5-6-1

청지각 훈련이란, 소리를 받아들이는 훈련을 통해 듣기를 조절하고 선택할 수 있게 함으로써 듣기, 읽기, 언어표현, 주의력, 집중력 등의 학습능력을 전반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훈련입니다. 단지 소리를 수동적으로 듣는 Hearing 뿐 아니라, 능동적으로 선택/집중하여 듣는 Listening 능력을 함께 향상시키는 훈련입니다.

5-6-2

 (1) 음성을 식별하는 ‘와우’에 발달적 문제가 있을 경우

  • 음성이 단조롭고,
  • 우물우물하며,
  • 말하는 것이 느리고
  • 주저하며 발음하고,
  • 어휘가 부정확하게 됩니다.

  “들을 수 없으면 말할 수 없다”라는 말이 있듯이 청각적 음소 구분이 정확하지 않음으로써 언어습득이 느리게 되는 것입니다.

 (2) 전정 기관 발달에 문제가 있는 경우

  • 자세가 좋지 않고,
  • 앉아 있을 때 몸의 움직임이 많아서 손발은 그냥 두지 못하거나,
  • 방향성과 공간, 거리 판단력이 부족하거나,
  • 어지러움, 현기증을 자주 느끼거나,
  • 눈으로 초점을 맞추고 소리에 대한 거리를 예측하지 못하거나,
  • 받아쓰기를 어려워하거나,
  • 손과 발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어려워 운동을 회피하기도 합니다.

청각 기관의 문제가 아동의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학습, 운동마저 어렵게 만들 수 있습니다”

5-6-3

5-6-4

수인재 두뇌과학은 ‘Lift (Listening Fitness Training)’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신뢰도 높은 훈련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Lift는 단지 소리를 듣는 Hearing 뿐만 아니라 제대로 듣고 의미를 이해하며, 집중력과 기억력을 개선시켜주는 듣기 능력 향상 프로그램입니다. Lift 프로그램의 원리는 Alfred Tomatis라는 프랑스의 한 이비인후과 의사의 청지각훈련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그는 청치각 훈련과 소리치료 분야의 세계적인 선구자로, 귀와 후두(larynx)는 같은 신경학적 고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귀(듣기)가 바뀌면 목소리나 말하기도 바뀔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5-6-5

‘칵테일 효과’란 시끄러운 소음이 있는 술집 혹은 파티 장소에서 파티 참석자들이 대화상대자의 이야기를 선택적으로 집중해서 문제 없이 들을 수 있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청지각능력이 정상인 사람들은 수많은 청각자극들을 배경음과 선택음(집중음)을 구분하고, 배경음에 대해서는 유입을 최소화 / 선택음에 대해서는 유입을 최대화 할 수 있습니다. 청지각훈련은 이 같은 청각 집중력을 향상시킵니다.

5-6-6

음원에서 특정 주파수를 걸러내어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아동에게 들려줌으로써 중이, 내이의 소기관을 자극하여 양쪽 귀의 균형을 높여줍니다. 청지각 관련 신경 경로를 재건하고 해당 뇌 영역을 활성화 시켜 궁극적으로 청각 정보처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수인재 두뇌과학은 신뢰도 높은 청지각 훈련 프로그램인 ‘Lift’을 도입하여 뇌를 비롯한 신경계통 전반에 좋은 자극을 주는 훈련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훈련을 통해 ADHD, 사회성 부족, 자폐, 아스퍼거, 발달장애 등 여러 두뇌문제들이 호전될 수 있습니다.

5-6-8

■ 훈련원리

필터링 (Filtering)
소리의 특정 주파수를 걸러내어 달팽이관 및 중추 청각 처리 영역을 자극하고 분화시켜 청지각의 선택적 집중력을 향상시킵니다.

게이팅 (Gating)
중이근육, 고막 긴장근 등의 듣기근육을 자극하고 청취자는 들려오는 소리의 주파수와 세기를 중추신경에 적합한 강도로 적응(이완/긴장)하게 합니다.

밸런싱 (Balancing)
좌우 귀를 균형적으로 사용하게 하여 정보처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좌우 청지각력의 균형을 맞춥니다.

골전도 (Bone Conduction)
골전이는 중이를 거치지 않고 바로 내이로 들어가 귀보다 더 빠르게 소리에 반응합니다. 청각 자체에 문제가 있거나, 청지각 타이밍에 문제가 있는 경우 도움을 줍니다.

5-6-7

■ 뇌신경학적 원리

1) 청지각 훈련 전용 헤드셋을 이용하여 골전도(bone conduction)와 공기전도(aerial conduction)을 통해 소리가 전파됨.

2) 전파된 소리는 Hammer muscle과 stirrup muscle에 작용하여, 달팽이관과 전정기관을 자극함.

3) 내이는 달팽이관과 전정기관으로 구성됨. 자극을 받은 내이 소기관들은 관련 뇌 영역들을 자극하고, 우리 신체 기관들에 에너지를 공급함.

5-6-9

  • 경청능력 : 불필요한 소리는 흘려 듣고 필요한 소리는 집중할 수 있게 됨
  • 빠른 언어 정보 처리능력 : 상대방의 빠른 말을 이해할 수 있게 됨
  • 정확한 듣기능력과 표현능력 향상
  • 정서적 안정 : 불쾌한 소리정보에 대한 내이림프액의 불안정 상태가 완화

5-6-10

5-6-11

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