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재-동행2_01 수인재-동행2_02

bg1-1

2013년 “인지능력 향상을 위한 능동형 ICT 뉴로피드백 통합솔루션 개발"을 주제로 정부(중소벤처기업부)로 부터 국책 사업을 수주하였습니다.

주의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의 향상 및 정서안정화를 목표로 뉴로피드백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시제품을 제작하여 KC인증(한국전파인증), FCC인증(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전파인증)을 2015년 획득하였습니다.

bg2-1

bg1-2

bg3-1

수인재두뇌과학은  ㈜락싸와 두뇌훈련 관련 생체신호처리 분야에 대한 하드웨어 기술 개발에 대한 업무 협약을 완료하였습니다.

생체신호처리 분야에서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뇌파, 심전도, 근전도 등 생체신호 계측 및 신호처리 분야에 적극 협력하여 다양한 비약물 두뇌훈련 솔루션 개발 및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bg1-3

bg3-2

2016년 가을, 수인재두뇌과학 기업부설연구소(대표 안상훈)와 서울대학교 심리학과 심리과학연구소(교수 고성룡)문항반응이론과 베이지언 추리를 이용한 어린이 언어검사 은행 구축 연구에 관한 연구계약서를 작성하고 공동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 언어 능력 검사를 만들면서 그 검사의 바탕이 되는 문제 은행을 구축하는 것이었습니다. 이 연구에서 제작될 언어 검사는 단어 뜻 검사, 지문 이해 검사, 음운 능력 검사였고, 이 검사들은 최근에 각광을 받고 있는 문항반응이론에 바탕을 두어 제작될 예정입니다.

거의 모든 지식은 언어를 통해 전달됩니다. 그래서 언어를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현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의 필수 능력입니다. 하지만 글을 읽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이런 어린이들을 미리 찾아내고 일찍 글을 가르치거나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배움을 이어 나가도록 돕기 위한 것이 이 연구의 목적입니다.

bg1-4

bg3-3

2017년 봄, 수인재두뇌과학은 동국대학교와 함께 두뇌훈련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SW 중심대학 업무 협약을 진행하였습니다.

수인재두뇌과학과 동국대학교는 뉴로피드백, 인지훈련 도구 등 다양한 두뇌훈련 소프트웨어 관련한 교육과정을 공동으로 기획 및 개발하며,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상호 공유하는 협약서를 작성하였습니다.

상호간 교류와 협력을 구체적이고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수시로 실무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개발, 공동 논문 저술 등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bg1-5

bg3-4

효과적인 뉴로피드백 훈련을 위한 임계값 설정 기법을 주제로 KCI 등재 유력 학술지인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vol. 25, p19~29)에 논문이 등재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임계값 자동 설정 기능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뉴로피드백 솔루션을 제안하였습니다. 실시간 뇌파의 신호 처리를 통해 보상 주파수와 억제 주파수에 대한 정확한 피드백을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치료사가 정한 목표 성공률을 얻기 위해 자동으로 임계값을 계산하는 기술을 제시하였습니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자동 임계값 설정 기술은 피험자의 이전 뇌파 패턴을 분석하여 목표 성공률과의 차이를 최소로하는 최적의 임계값을 계산하였으며, 다양한 조건의 실험을 통한 제안된 기법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입증하였습니다.

bg1-6

bg3-5

“효과적인 뉴로피드백 훈련을 위한 임계값 설정 기법”을 주제로 KCI에 등재 유력 학술지인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에 논문이 2019년 등재되었고, 이에 대한 검증을 위한 논문이 2022SCI, MDPI SENSORS 저널에 등록 대기중입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 임계값 설정 기술이 적용된 뉴로피드백 훈련 후 뇌기능의 신경학적 변화와 그에 따른 주의력, 집중력, 작업기억력(working memory)의 변화를 브레인맵핑(BEAM)과 종합주의력검사(CAT)를 통해 검증하는 논문입니다.

실험 결과 뉴로피드백 이후의 전두엽에서는 서파(Delta, Theta)의 파워가 이전보다 현저히 줄어드는 패턴을 보였으며, 종합주의력 검사에서도 시각주의력, 청각주의력, 선택주의력, 작업기억력 등이 향상된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향후에는 모집단의 수를 늘리고 이중맹검(double blinded)을 적용하는 등 끊임없이 연구에 매진할 것입니다.

bg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