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주)수인재두뇌과학 이슬기입니다.
마음의 상처는 책상 모서리에 찧은 무릎과 같아서 분명히 아픈데도 불구하고 겉으로 내색하지 못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발을 동동 구르고 있지만 누군가의 도움을 받기에는 창피하고 애매하고 서럽게 울기에도 그렇고, 병원에 갈만한 상황도 아니라는 판단에 결국 혼자 통증을 끌어안습니다.
언제나 무심한 모서리는 무엇이 잘못됐는지도 모르는 눈치라 더욱 애가 탑니다. 하지만 마음의 생김새 역시 몸과 같아서 세심하게 보듬어주어야 합니다.그러므로 마음이 힘들때는 하소연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믿음직한 이에게 연락해서 징징거려도 좋고 그 아픔이 공감받을 때면 아픔은 곧 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자기마음을 돌볼 수 있어야 이타적인 마음이 생길 여유도 생깁니다. 그래야 아이가 편한고, 부모님의 마음이 편해집니다. 공감받을 때 상처가 치유되고 그렇게 얻은 힘으로 타인의 아픔도 공감할 수 있습니다.
저는 본래 의식을 다루는 철학적인 문제에 관심이 많던 학생이었습니다. 석사 과정까지 ‘사람의 의식’ 이라는 다소 거창한 주제를 다루다가 2010년 뇌과학, 심리학, 언어학, 철학, 인공지능이 융합된 서울대 인지과학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관심사를 좁혀갔고, 현재는 ADHD와 같은 주의력 문제나 난독증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발달과정이 다소 느린 아이를 살피고 적절한 인지훈련을 제공하는 것에도 큰 관심이 있습니다.
사람이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보고, 듣는 기본적인 과정이 무리가 없어야 할 것입니다. 보다 객관적이고 검증된 과학적 두뇌검사 방법을 통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행복한 일상을 영위할 수 있도록 따뜻한 마음으로 여러분을 만나고 이야기 나누겠습니다.
수인재 두뇌과학 분당센터가 늘 여러분 곁에서, 마음을 어루만지고 힘이 되겠습니다.
이슬기소장 약력
-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인지과학 박사 수료 (전공분야 : 응용현상학, 인지과학)
- 前) 육아정책연구소 연구자문 위원
- 前) 한국뇌과학심리학회 교육이사
- 前) 한국인지과학산업협회 정회원
- 現) 서울대학교 언어와 사고 실험실 산학협력 담당위원
- 現) KT Olleh TV ‘키즈랜드’ 자문위원
- 現) 한국뇌파신경학회 학술이사
■ 비고 :
- 컴퓨터기반 신경심리훈련 전문가(KBSPA, 국가공인 민간자격)
- IM(Interactive Metronome – 감각통합훈련) 전문가
- 바이오피드백 전문가
- 임상심리사 2급 (산업인력공단 국가공인자격증)
■ 저서 :
- 산만한 아이의 특별한 잠재력, 길벗, 2020
- ADHD 2.0, 녹색지팡이, 2022 (감수)
- 4~7세 느린 아이 강점 양육, 위즈덤 하우스, 2023
■ 주요논문 :
- “습관과 감정의 윤리학”, 중앙대학교 대학원 학술대회, 2009년 1월
- “The concept of affordance and its phenomenological implications”, BESETO Conference in Beijing (북경대, 서울대, 도쿄대 합동 세미나), 2011년 1월
주소 : 서울시 송파구 올림픽로 100 효창빌딩 9층
상담번호 : 1644-5831
찾아오시는길
2호선 잠실새내역 4번 출구에서 약 200m(도보 3분)거리. 9호선 종합운동장역 9번 출구에서 약 350m(도보 5분)거리.
(1층 커피빈 건물 9층에 있으며 건물 뒤편 주차장 이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