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각통합(Sensory Motor Integration)이란, 자신의 신체와 환경으로부터 주어지는 감각들을 조직화하고, 그 환경 속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신경학적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길을 가다 자신을 향해 다가오는 오토바이를 보고, 그 시각정보를 해석한 후, 피하는 반응을 계획하고, 실제로 몸을 움직여 피하는 것이 바로 ‘감각통합과정’입니다.
감각통합훈련은 정확한 타이밍(Timing)과 밸런싱(Balancing) 훈련을 통해, 통합 신경시스템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켜 두뇌의 정보처리기능을 향상시켜 줍니다. 집중, 운동 계획, 순차적 처리 기능을 직접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훈련도구로서, 계획성, 조직화 기능, 언어와 같은 근본적 인지능력과 더불어 감각운동 기능, 소뇌 기능이 강화됩니다.
0.1초를 다투는 육상이나 수영종목에서 출발스타트는 너무나 중요합니다. 운동신경, 순발력의 요소인 ‘타이밍’은 소리를 인지하고, 동시에 반응하는 능력으로 감각과 운동반응신경의 통합적 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수인재두뇌과학의 타이밍 감각통합훈련 장비는 국내에서 널리 이용되고 신뢰도가 높은 IM(Interactive Metronome)과 국내 개발 장비인 뉴로싱크(NeuroSync)을 모두 도입하여, 아동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1:1 맞춤형 감각통합훈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타이밍 감각통합훈련은 2개 이상의 감각 운동 통합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컴퓨터에서 생성되는 비트 음에 훈련자가 정확하고 빠르게 반응하도록 돕습니다. 훈련 참가자는 헤드폰을 통해 듣는 가이드 사운드에 손과 발이 주어진 동작을 하도록 지시 받게 됩니다. 손에 센서를 끼고, 손을 마주치거나 발을 센서에 접촉하는 등 13가지 반복적인 동작을 훈련하게 됩니다. 1,000분의 1초 단위로 정확도가 계산되며, 이러한 계산된 점수의 차이는 두뇌와 신체간의, 즉 감각운동 시스템의 타이밍의 정확도를 반영해줍니다. 정확한 타이밍과 반복적 리듬 훈련을 통해 감각통합 신경 시스템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본 훈련의 목적입니다.
타이밍 감각통합훈련의 특징
- 소뇌, 전두엽, 대상회, 기저핵 기능을 향상
- 집중력, 운동계획, 순차처리 능력 개선
- 독립적인 4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좌/우, 상/하 밸런스에 대한 정보 수집
타이밍 감각통합훈련(IM)
양손 센서 착용 장면
타이밍 감각통합훈련(IM)
훈련 진행 모습
밸런싱 감각통합훈련은 정확한 타이밍과 균형감각 훈련을 통해 통합신경시스템의 속도와 용량을 증가시켜 두뇌의 정보처리기능을 향상시켜주는 훈련입니다. 감각통합 과정에서 신경시스템의 속도, 정보처리방식에 문제가 있는 경우 학습, 놀이, 안전 등 여러 영역에서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밸런싱 감각통합훈련의 특징
- 균형 감각, 섬세한 운동협응능력을 발달시켜 소뇌의 기능을 향상
- 소뇌와 밀접한 전두엽 기능 및 인지기능 향상
- 아동이 재미를 느껴, 훈련에 대한 몰입도가 높아 훈련 효과 탁월
- 12단계의 훈련 모드와 10단계의 난이도로 구성
밸런싱 감각통합 훈련
예시 및 장비
밸런싱 감각통합훈련 자극 예시:
몸을 움직여 하얀색 공이
화살표에 위치하도록 만들기
- 운동계획성과 순차성 향상 : 발달, 학습, 언어, 운동장애 개선
- 운동협응능력 향상 : 균형감각과 걸음걸이 불균형 개선
- 집중력과 충동조절 능력 향상
- 대/소근육 발달, 운동능력 증진
- ADHD에 대한 감각통합훈련의 효과 :
9~12세 아동 대상 연구결과, 감각통합훈련이 집중, 협응운동, 공격성과 충동성 조절, 읽기 언어처리 기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을 가져옴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2001) - 운동조절에 대한 감각통합훈련의 효과 :
통제집단과 특수교육을 받는 학생들간의 비교연구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감각통합훈련 그룹이 운동조절, 운동협응기능 면에서 현저한 개선을 보임(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Association, 199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