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title2_7

2-7-1

2-7-2

title177

2-7-3

2-7-4

2-7-6

2-7-7

언어발달장애는 아니지만, 언어발달이 느려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

  • 발달 수준에 맞는 언어사용 및 문장 구사를 하지 못하는 아이
  • 말보다 몸짓으로 표현하는 아이
  • 말은 잘 하는데 글을 잘 못 읽는 아이
  • 심하게 말을 더듬는 아이

2-7-8

학습장애는 아니지만, 학습능력이 정상발달수준에 미치지 못하여
학업성취도가 낮고 학업 및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

  • 공부하는 양과 지능에 비해 학업 성취도가 낮은 아이
  • 배움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이 있는 아이
  • 이해와 표현의 능력이 부족한 아이

2-7-9

사회성 발달장애는 아니지만, 사회성이 결여되고
타인과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

  • 불러도 눈맞춤을 잘 안하는 아이
  • 사람에 대한 관심보다 사물에 대한 관심도가 더 높은 아이
  • 대화를 이어가지 못하거나, 내용 파악을 하지 못하는 아이

2-7-10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듯이 아동마다 두뇌발달의 속도와 양상은 다릅니다.

2-7-11

언어와 관련되는 기능을 관제하는 것은 뇌 중에서도 좌반구, 즉 좌뇌입니다. 
좌뇌가 손상되었거나, 혹은 발달에 지연이 있는 경우 언어 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인지적 기능들을 통제하는 전전두엽의 기능 저하가 언어발달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7-12

주의력 및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저하, 혹은 시·청지각 영역의 문제를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특히 집중을 담당하는 전두엽의 기능의 저하가 배움이 느린아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7-13

사회성 발달지연의 원인은 우뇌의 발달지연과 관련이 있습니다.
즉, 좌우뇌 발달의 불균형이 마음이 느린아이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두엽 기능의 저하로 인하여 충동조절, 공감능력, 감각통합기능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2-7-14

제 나이에 맞게 두뇌가 잘 발달하고 있는지 평가해보고, 그 발달의 속도가 늦다면
두뇌 발달과 성숙을 촉진해 줄 ‘과학적인 두뇌신경훈련’이 필요합니다.

2-7-18

2-7-20

2-7-21

2-7-22

2-7-19

  • 서울대 및 관련 전공 석/박사 전문가 운영
  • 객관적인 데이터를 통한 맞춤형 두뇌훈련 제공
  • 다양한 두뇌훈련을 통한 시너지 효과

2-7-15

2-7-16

2-7-17

2-7-23

2-7-24

2-7-25

online